본문 바로가기
외국어 이야기

미드 '슈츠(SUITS)' 시즌1 : episode 1 (45분~50분)

by 유플라시보 2025. 4. 18.
반응형

 

저의 하루 영어공부 시간을 적어볼게요.
아침 7시~7시 30분 : 스피킹 맥스 따라 말하기
(사이 시간에는 '아침 긍정 확언' 10분간)
아침 8시~8시30분 : 출근시간에 '유튜브 영어말하기'로 따라 말하기
저녁 6시 10분 ~ 6시 40분 : 퇴근시간에 '유튜브 영어말하기'로 따라 말하기
저녁 7시 ~ 8시 : 미드 슈츠 틀어놓고 흘려 듣기 또는 들리는 표현은 쉐도잉하기
(저녁 식사 준비 전부터 후까지 그냥 틀어놓는게 일상이 되었어요)
밤 10시 ~ 10시40분 : 미드 슈츠를 한문장 한문장 쉐도잉 심도깊게(^^) 하고 있어요.
 
하... 사실 업무시간을 제외하고는 공부할 시간이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몰입하지 않으면 짧은 시간에 끝낼 수 없다고 생각해요.
 
슈츠 시즌1을 완전히 내것으로 만들 때까지 철인 3종 경기를 완주하는 사람의 마음가짐으로 계속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자, 오늘도 표현 공부 그리고 대본 써 보도록 하겠습니다.

45분~50분 내용(넷플릭스 기준)입니다. 

영어 불태워 봅시다.


 

 

Michael. Come on.

마이클, 이러지 마.

 

You know I don't want to live in a world where we're not tight.

우리 사이 멀어지는 거 싫다.

  • "we're not tight"
    → 여기서 tight는 "단단한", "가까운"의 의미. 즉 "친한 사이", "끈끈한 관계"를 의미해요.
    "we're tight" = 우리는 정말 친해
    → 반대로 "we're not tight" = 사이가 멀어졌다는 뜻.
  • "live in a world where..."
    → 어떤 상황이 사실인 세상에서 살아가다
    → 문학적 또는 감성적인 표현으로 자주 쓰여요.

Then kill yourself. Get out. Get the hell out.

싫으면 죽든가. 나가. 빨리 나가.

 

Donna, I need the...  Oh, also, I didn't have a chance to...

도나, 지금... 아, 시간이 없어서...

 

Marry me? 결혼할래?

 

I took care of that, too. We've been married for the last seven years.

이미 7년 동안 살다시피 하잖아요.

 

  • "I took care of that"
    → 직역: 내가 그건 처리했어.
    → 의역: 그 문제는 내가 이미 알아서 했어.
  • "We've been married for the last seven years"
    → 여기서는 실제 결혼했다는 뜻이라기 보다는 "부부처럼 지냈다", "사실상 함께 살아왔다"는 의미예요

 

Excellent. 그렇지.

 

Um, Devlin McGreggor is fighting the subpoena.

데블린 측이 출석요구서 발부를 막고 있어요.

 

They filed a motion to dismiss the case based on our lack of evidence.

증거 불충분을 사유로 소송 취하 서류도 제출했고요.

  • file a motion: 법원에 공식 요청(신청서)을 제출하다
  • motion to dismiss: (소송) 기각 요청
  • based on ~: ~에 근거해서
  • lack of evidence: 증거 부족

이 문장은 법률적 상황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이며, 누군가의 소송을 법원이 받아들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증거가 부족하다”는 사유로 소송을 종료(기각)시켜 달라고 신청했다는 의미예요.

 

Good. 좋아.

 

Good? Wait. What do you mean "good"? 

좋다고요? 뭐가 좋다는 거죠?

 

They don't want to hand over the files.

파일을 주기 싫다는 거잖아.

 

You pressed where it hurt. You're looking in the right place.

아픈 곳을 찔렀단 얘기지. 잘하고 있는 거야.

 

Did you think they wouldn't fight back? 

가만히 있을 줄 알았어?

 

Well,  I,  Now that you mention it.

듣고 보니 그렇네요.

  • "Now that you mention it"
    "당신이 그걸 언급하고 보니 (이제야 생각났네요)" 라는 뜻.
    → 회화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 어떤 사실이나 논점을 듣고 나서 새롭게 인식하거나 동의할 때 사용해.

Oh. My bad.  이런, 실수했네.

 

I keep forgetting you don't actually know anything.

네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걸 계속 까먹는군.

 

The idea is you make a move, they make a move.

중요한 건 네가 움직이면, 그쪽도 움직인다는 거야.

  • make a move: 행동하다, 움직이다, 한 수를 두다
  • the idea is ~: 핵심은 ~이다, 요지는 ~이다

비유적 의미로 "너가 먼저 움직이면(행동하면), 상대방도 반응할 거야" 라는 뜻이예.

→ 전략 게임이나 협상 상황에서 자주 나오는 표현이에요.

 

You go back and forth until one of you wins.

둘 중 하나가 이길 때까지 계속 그럴거야.

 

Okay. What if they win the motion and the case gets dismissed?

만약 신청이 받아들여져서 사건이 기각된다면요?

 

Then you're not as good as you think you are.

네가 똑똑하지 않은 거겠지.

 

 Harvey! What a coincidence.

하비! 마침 잘 만났네.

 

I was wondering how the pro bono was coming.

무료 변호 건은 어떻게 돼 가?

 

I'm all over it.

잘 되고 있어요.

 

That makes me very happy.

그렇다면 다행이네.

 

Because if I were to find out that you weren't putting in your full effort, I would be very upset.

최선을 다하고 있지 않다면 화날 뻔했어.

 

No worries. We're all good.

다 잘 돼가니 걱정 마세요.

 

Rachel. Rachel, Rachel, Rachel. I need your help. There's a hearing on my subpoena.

레이첼*4, 좀 도와줘요. 소환 건으로 심리가 있어요.

  • subpoena (서피나): 법원에서 발부한 소환장 (출석 명령)
  • hearing: 심리, 공판, 청문회
  • There's a hearing on ~: ~에 관한 심리가 있다

 *  법률 드라마에서 자주 나오는 표현이예요.

 

I've got three cases in front of yours. You're going to have to wait in line.

처리해야 할 건이 세 개나 있으니 줄부터 서 주시죠.

 

Wait. No. No, no, no. My hearing is tomorrow.

안돼요. 심리가 내일인데요.

 

So, why are you coming to me?

왜 하필 나예요?

 

Because Donna says you're the best researcher in the firm.

도나가 그러는데 당신이 최고래요.

 

Hmm. Let me see the motion.

신청서 좀 봐요.

 

Whoa. Whoa, whoa, whoa, whoa. You have an office?

워,워,워,워, 개인사무실이 있어요?

 

How do you have an office and I have a cubicle?

나는 칸막이 책상 하나 주면서?

 

Like you said, I'm the best researcher in the firm. 

난 최고의 조사원이니까요.

 

Really? Well, I just made that up.

진짜였어요? 그 얘기 지어낸 건데.

  • make something up: 꾸며내다, 지어내다 (보통 농담, 변명, 거짓말을 뜻함)
  • Well, I just made that up. → “방금 내가 즉석에서 지어낸 거야.”

 I didn't even have time to talk to Donna.

도나랑 얘기할 시간도 없었어요.

 

Is this all a joke to you? Because I take my job seriously.

여기서 일하는 게 우스워요? 난 진지한데.

 

No, I'm.. I'm sorry. Look, I was... 

미안해요.. 나는...

 

Look, you weren't there. Okay?

레이첼이 몰라서 그래요.

 

I care about this woman. She's got nowhere else to turn and...

  • nowhere else to turn = 도움을 청할 곳이 없다
    → 감정적인 표현으로, 누군가가 외롭고 절박한 상황에 있을 때 자주 사용되요.

And you can't help her by yourself. 

혼자 힘으론 도울 수 없고요?

 

I can. I just prefer not to.

물론 힘이야 있죠. 그러고 싶지 않아서 그렇지.

 

Okay. You're asking to look at private files without any evidence of your assertion.

좋아요. 증거도 없이 회사의 인사서류를 달라고 요청하는 거잖아요.

 

  • assertion = (사실임을 주장하는) 진술, 단언
  • without any evidence of your assertion = 너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도 없이
    → 법률 영어에서 자주 등장하는 구조입니다.

 

Yeah. But the only way that we can find the evidence is to look at those files.

증거를 찾을 유일한 방법은 그 파일들을 보는 거예요.

 

That's a rickety argument.

근거가 약해요.

  • rickety = 낡고 흔들리는, 부실한
    → 여기서는 논리 구조가 허술한 주장이라는 비유적 표현으로 쓰였어요.

But is there precedent?

선례는 있지 않을까요?

 

Let's go see if we can find one.

찾으러 가 보죠.

 

Research is as much art as science.

조사도 과학만큼 예술적인 행위예요.

 

So, we're going to look at privacy and harassment law.

사생활 보호와 성희롱에 관련된 자료를 찾을 거예요.

 

See if we can find a combination of cases to make an argument.

그리고 두 가지를 섞어 사건에 접목하는 거죠.

  • combination of cases = 여러 개의 판례나 사건
  • make an argument = 주장이나 논리를 구성하다

  * 법률 전략에서는 기존 판례들을 조합해서 새로운 논리를 만드는 방식이 중요해서 나온 표현이예요.

 

I'll take privacy.

제가 사생활 쪽을 맡죠.

 

I'll take harassment law.

전 성희롱 쪽 맡을께요.

 

This will take a while. We're going to need dinner.

시간 좀 걸릴테니 저녁은 여기서 먹어야겠어요.

 

Chinese. 중국음식 어때요.

 

No. I can afford Chinese on my own. This is on the firm. I want sushi. 

싫어요. 회사경비로 먹을 건데 초밥 정도는 돼야죠.

 

So, they told me to put my top investigator on it.

나한테 최고의 조사관을 투입시키래.

 

What did you do?

그래서 어떻게 했어?

 

What could I do?

뭐 어떡하겠어.

 

You were out of the country. I gave them Luderman.

당신이 외국에 있어서 그냥 루더만을 보냈지.

 

Harvey, this has been lovely, but...

하비, 정말 즐거웠지만...

 

I believe you know what I want.

내가 뭘 원하는지 알잖아.

 

I think I got what you want.

응, 알 것 같아.

 

Well...  그래.

 

By the way, that dress..

그건 그렇고

 

What, this old thing? Come on. 

오래된거야.

 

Beautiful. 예쁘다.

 

Vanessa, why don't we do this more often?

우리는 왜 더 친하게 지내지 못했을까?

 

  • 이 문장은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어요.
  • 보통 친근한 분위기에서 관계 회복 또는 호감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Because it always ends the same way.

항상 끝이 똑같으니까.

 

Then why are we doing it now?

지금은 왜 이러고 있지?

 

Because you're paying me.

나한테 돈 줄 거니까.

 

Vanessa, really....

바넷사, 정말..

 

How come you and I never..

어떻게 너랑 나랑은...

 

Harvey, I don't sleep around.

하비, 나 쉬운 여자 아냐.

 

And I could never be in a relationship with you. All you ever think about is yourself. 

자기 밖에 모르는 당신 같은 사람은 만나기 싫어.

 

I'm thinking about you and me right now.

지금은 당신 생각 뿐이야.

 

Let me get this.

내가 낼게.

 

But I'm a gentleman.

나도 신사야.

 

But if you get it, you might think I'll change my mind someday?

이걸 내면, 내마음이 바뀔거로 생각하는 거야?

 

I already do.

이미 그렇게 생각하고 있지.

 

For the record, I am not selfish everywhere.

난 누구에게나 이기적이지 않아.

 

  • For the record = 공식적으로 말하자면, 참고로
    → 실제 기록을 남기겠다는 의미에서 유래해, 강조하거나 명확히 하고 싶을 때 쓰는 표현입니다.
  • I am not selfish everywhere
    내가 모든 상황에서 이기적인 건 아니야, 나름 배려하는 부분도 있어.

 

Neither am I. 

나도 그래.

 

John Dockery, you naughty, naughty boy.

존 다커리, 이 못된 녀석.


오늘은 45분~50분까지의 표현을 알아봤어요.

 

곧 또 이어갈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