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절세 노하우15

사적연금 수령 적정 연령 / 연금저축 IRP / 55세부터 수령 시작 / 사적연금 공적연금 / 연금 수령 금액 계산 / 퇴직급여 IRP 오늘은 사적 연금 수령과 관련해서 중요한 주제를 한번 다뤄볼까 합니다.'연금저축이나 IRP'는 5년 이상 납입하셨다면 55세부터 수령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55세면 아직 일하시는 분들이 많잖아요.그래서 수령을 좀 미루는 분들이 많은데 55세부터 수령하는게 유리합니다.왜 그런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적연금은 현재 기준으로 연1,500만원까지 3.3~5.5% 낮은 세율로 분리과세 됩니다.연 1,500만원을 넘는 순간 종합과세 되거나 분리과세를 선택한다 하더라도 16.5%로 세율이 껑충 뛰게 되죠..그래서 일단  연 1,500만원가 분리과세 기준금액입니다.(저이율로 분리과세가 되는 기준금액인거죠)하지만 저율 분리과세는 꼭 지켜야 될 조건이 있습니다. 2013년 3월 이후 가입한 연금저축이나 IRP인 경우만 해당.. 2024. 12. 9.
간단한 절세 노하우 60가지 / 근로소득 절세팁 / 사업자 절세팁 / 금융 및 재테크 절세팁 / 생활비 및 기타 절세팁 / 일반 가계 절세팁 오늘은 간단한 절세 상식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해요.아직까지 모르고 계셨던 분들은 내용을 확인하셔서 내년부터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절세 상식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총 60가지를 구분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연말정산은 꼼꼼히: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를 확인하고 누락된 항목이 없는지 꼼꼼히 점검하세요.2.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비율 조정: 신용카드는 총급여의 25%를 초과한 금액부터 공제되므로, 체크카드를 혼합 사용하면 절세에 유리합니다.3. 직장인 소득공제: 도서·공연비, 체육시설 이용료는 추가로 소득공제 받을 수 있어요.4.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중소기업 취업자는 일정 기간 동안 소득세를 최대 90% 감면받을 수 있어요.5. 비과세 혜택 활용: 야간.. 2024. 11. 26.
직장 은퇴 후 건강보험료 폭탄 피하기 / 퇴직 전에 건보료 알아두기 / 직장 다닐 때는 몰랐는데 직장을 그만두고 나니 건보료가 2~3배 이상 나온다고 많이 들어보셨죠?!얼마전에 제가 직장 건보료, 지역 건보료, 피부양자에 대한 글을 올렸었는데요(유플라시보의 글 클릭 : 건강보험료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피부양자) 오늘은 직장 퇴직후에 건강보험료 폭탄을 피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더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은퇴 후 소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직장다닐 때보다 2배 이상 건보료를 내야하고,연금을 안 받을 수는 없고, 소득 20~30만원 차이 때문에 1년에 100만원 가까운 금액의 건보료를 내야 하니 아깝다는 생각이 많이 들잖아요. 60대의 어떤 은퇴자가, 각종 연금 수령액을 합해서 월170만원 정도 받는데 연간 2,020만원이 넘어서면서 문제가 생겼는데요.남편에게 피.. 2024. 11. 11.
건강보험 피부양자 되는 조건 /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건보료 부과 조건 /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피부양자 요즘 지역 건강보험료(건보료)가 많이 나와 걱정이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되는데요. 건강보험 공단에서 매달 고지되는 금액이 상당해서 걱정이 되었던 거 같아요. 피부양자가 되면 좋겠는데 해당조건은 점점 까다로와지고 있구요. 얼마전에도 건보료에 대해서 제가 관련글을 포스팅 하긴 했지만 이번에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가 어떤식으로 부과되는지 그리고 피부양자가 될려면 어떤 조건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지역가입자 건보료 부과 조건과 대비 방법 지역가입자 건보료는 직장 가입자 건보료보다 2배 이상 더 큰 부담이 되는데요 직장가입자인 직장인은 연간 2,000만원이 넘는 건강보험료 부과대상(저의 글 참고 : 클릭) 다른 소득이 없다면 회사 소득만을 기준으로 7.09%의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지만 회.. 2024. 10. 29.
건강보험료 줄이는 방법 / 지역가입자 건보료 / 건보료 줄이는 팁 /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얼마전에 제가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피부양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글참고 : 클릭) 드렸었는데요. 그 중에 건강보험료 상승에 대한 염려가 가장 많을 직장가입자에 대해서 오늘은 설명드리려고 해요 직장가입자 같은 경우는 아무리 비싼 부동산을 가지고 있어도 오직 소득에 대해서만 계산하니 건보료가 적게 나올뿐만 아니라 절반은 회사에서 내줘서 부담이 없는데요. 만약 회사를 퇴사하고 사업을 하게 되거나 공적연금 받으시는 분들도 일정 금액이 넘어가면 지역가입자로 전환이 되는데요. 그러면 내 재산(부동산, 자동차)뿐만 아니라 피부양자인 가족의 재산까지 합쳐져서 건강보험료가 나오니까 직장 다닐 때보다 몇배 이상 건보료를 내야 해요. 그래서 오늘은 지역가입자가 건보료를 줄일 수 있는 팁에 대해서 설명드릴테니 도움 많.. 2024. 10. 7.
소득에 따른 국민연금 사학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감액 기준 / 감액 금액 / 2024년 기준 / 근로소득 / 사업소득 연금 받을 나이가 되었는데 소득이 있으면 연금액이 감액된다는 거는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그럼 얼마의 소득이 있으면 국민연금, 사학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이런 연금들이 월 얼마가 깎이게 되는지에 대해서 설명드릴께요 연금이 감액되는 소득은 근로소득(월급)과 사업소득(부동산 임대소득 등)입니다. (이자나 배당소득과 각종 연금소득은 포함되지 않으니 참고하세요.) ♤ 2024년 기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합산 금액이 ♤ 월 299만원 초과하면 국민연금 감액이 되고 월 264만원 초과하면 공무원연금이나 사학연금이 감액 되고 월 466만원 초과하면 군인연금이 감액됩니다. 개인연금이나 금융소득(이자나 배당소득)은 소득으로 잡지 않으니까 걱정 안하셔도 되겠네요. 근로소득연금받을 때 근로소득이 얼마 이상되면 안된다 .. 2024.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