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025년의 공무원 봉급을 얼마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수당 중에서 인상되는 내용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간략하게 설명드릴테니
공무원분들이나 공무원 공부를 준비하시는 분들 참고 바랍니다.
# 공무원 봉급 인상률
2025년의 공무원 봉급 인상은 2024년 대비 3%예요.
2024년도가 2.5% 인상을 한 금액이었으니 0.5% 더 오른셈이네요.
2024년 인상률 2.5%
2023년 인상률 1.7%
2022년 인상률 1.4%
2021년 인상률 0.9%
2020년 인상률 2.8%
전체 공무원의 봉급 인상률은 평균 3%가 인상된 셈이지만 근무연수가 적은 공무원인 경우에는 급수별로 차등 인상이 예상되는데요
(봉급표가 확정이 되면 '인사혁신처>공무원인사제도>성과보수제도>공무원봉급표'에 업로드되니 참고하세요)
요즘 갓 공무원을 시작한 분들의 퇴사,이직률이 증가해서 그런지 2025년도에는 저연차 공무원에 대한 봉급 인상률이 평균 인상률을 상회하고 있어요.
6급 이상의 공무원들은 모두 3%가 인상되지만 7~9급 공무원중 호봉이 낮은 공무원에 대해서는 호봉이 낮을수록 인상률이 커짐을 아래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표는 2025년도 공무원 봉급표이니 참고하세요.
# 공무원 정근수당 인상 전후 비교 (2024년, 2025년)
공무원이 되면 매년 전반기(1월)와 후반기(7월) 2회에 걸쳐서
봉급날짜(20일)에 근무연수에 따라 정근수당을 받게 되는데요.
2024년과 2025년를 비교하기 위해 표로 만들어 보았어요.
근무연수가 5년 이상인 경우는 정근수당 지급율에 변함이 없는데요
표에서 확인하시듯,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근무연수는 1년 미만에서 4년 미만이네요
2024년에는 근무연수가 1년 미만인 경우는 정근수당을 받지 못했는데요.
(최저시급에도 못 미치는 월급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2025년부터는 월 봉급액의 10%를 받게 됩니다.
1년 이상 2년 미만은 5%에서 10%로
2년 이상 3년 미만은 10%에서 20%로
3년 이상 4년 미만은 15%에서 20%로
정근수당 지급율이 상향됩니다.
참고로 근무연수에 군 복무기간이 산입되니 참고하세요
(공무원 직군, 군 복무 형태, 근무 경력에 따라 합산일수가 달라질 수 있음)
# 공무원 시간외 근무수당(초과 근무수당)
2025년에는 공무원의 시간외 근무수당이 변경되었는데요.
가장 두드러진 부분은 당초의 개정안을 보면 2025년도 9급 공무원의 시간외 근무수당(초과근무 수당)이 최저시급과 같은 10,030원이었으나, 초과 근무수당 단가 감액 조정률이 55%에서 60% 상향 조정해서 10,579원으로 변경되었다는 점이예요.
8급~5급 공무원의 시간외 근무수당도 일정 금액 상향되었습니다.
# 공무원 가족수당
다음은 공무원 가족수당인데요.
자녀에 대한 가족수당은 만 19세 미만 자녀에 대해서만 해당이 됩니다.
첫째 자녀는 2024년 3만원에서 2만원 인상되어 2025년에는 5만원을 받게 됩니다.
둘째 자녀는 1만원 인상되어 8만원을 받고
셋째 이후 자녀에 대해서는 1명당 1만원이 인상된 12만원을 받게 됩니다.
그런데 배우자에 대해서는 가족수당을 24년과 같은 금액으로 동결했네요.
아래에는 참고로 공무원 재직기간별 연가(휴가)일수 안내드려요
오늘은 2025년 공무원 봉급, 가족수당, 초과근무수당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도움되셨기를 바랍니다.~